행동주의
행동주의(行動主義, 영어: behaviorism)는 관찰과 예측이 가능한 행동들을 통해 인간이나 동물의 심리를 객관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고 보는 심리학 이론이다.
1913년 전 브로더스 왓슨이 자신의 심리학 논문에서 처음으로 정의했다.
행동주의는 프로이트로 대변되는 정신분석(psychoanalysis) 또는 정신역동(psychodynamics)을 비판하며 등장한 심리학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법이다.
행동주의에서는 이전의 흐름과는 달리 철저하게 과학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때의 과학적 접근은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행동만을 심리학의 연구 대상으로 국한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20세기 초중반을 주름잡던 행동주의는 당시 사회과학 대부분의 학제가 그렇듯이 (그리고 당시 철학적 흐름이 그랬듯이)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과학성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그들은 심리학이 추상적이고 사변적으로 흘러가려는 것을 경계했고, 무의식처럼 관찰될 수 없는 것은 연구의 주제도 될 수 없다고 보았다.
미국의 심리학자 스키너는 행동주의를 바람직한 행동을 습득하기 위해서 보상(reinforcement)을 통해 행동을 형성해 가는 방법으로 정의하면서
밖으로 나타난 행동은 외적인 힘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내적인 요인인 정서적 요인이나 정신상태는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교육학에서 행동주의 모델은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두 가지로 구분된다.
남아공의 정신의학자 조지프 월파(Joseph wolpe)는 교육학에서의 행동주의를 학습이론 기법의 하나로 보았다.
그러므로 심리치료는 실험적 소거나 반조 전화 기법이 포함된 호혜적 억제를 주요한 내용으로 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심리학자 한스 아이젠크(Hans Eysenck)는 1952년 그의 논문에서 정신분석적인 기존의 심리학적 입장에 대해
과학적이고 전문가적인 입장 즉 과학자-전문가 모형에 부합하는 행동주의 모델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논의한 바 있다.
경제학에서의 행동주의
미국의 경제학자 허버트 사이먼은 경제학에서 행동주의를 제안했다.
그는 접근법, 의사결정과정, 합리적 프로세스(rational process), 조직 이론(organization theory)을 연구하였으며
이는 정치학과 관료제도에 영향을 주었다.
현대의 행동주의 심리학
현대에 이르러서 전통적인 행동주의 이론들은 그 자체로서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관련 학문인 사회학습이론 및 동물행동학,
생태학적 이론 등 과 같은 다양한 이론과의 결합으로 그 이론의 확장과 변형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행동수정 이론들은 인간이 자신을 위한 더 나은 삶과 타인을 위한 삶을 한 방향으로 놓기 위해
미래지향적인 의지와 주변 환경의 개선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처럼 행동수정 절차로서 정교한 행동 단위의 세분화를 통한 분해와 수정 및
이러한 재조립은 목표 행동의 설정 및 긍정적이고 협동적인 마땅한 행동수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현대에는 학습심리학이 그 명맥을 간접적으로 잇고 있으며, 과거에 흥하고 지금은 한물간 취급을 받기는 하지만 조직 심리, 산업 심리 등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이를 임상 치료 현장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바로 행동주의 치료라고 할 수 있겠다.
행동주의가 과거의 관점 취급을 받더라도 아직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우선 심리학이 과학적 연구 방법을 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한다면 객관적인 자료의 수집이 용이한 행동주의 관점은 인지주의와 함께 이점을 가진다.
다른 이유로는 행동주의 연구 중 가장 유명한 사례인 파블로프의 실험과 스키너의 연구를 통해 생각을 해보자.
파블로프의 실험은 쉽게 말해서 '먹이를 줄 때마다 종을 쳤더니 나중엔 종만 쳐도 침을 흘리더라'라는 내용이다.
스키너의 실험 또한 간단하게 말하자면 '쥐가 레버를 누를 때마다 먹이를 줬더니 갈수록 레버를 더 누르더라'이다.
이것들이 행동주의의 강점을 지지하는 이유는, 위 실험들이 개와 쥐를 가지고 한 실험임에도 인간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체에서 같은 과정의 학습을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물론 종에 따라 생물학적으로 학습이 불가능한 행동이 있기는 하지만, 고전적 조건화나 조작적 조건화는 인간, 개, 고양이, 비둘기 등의 다양한 생물체에서 같은 양상으로 일어난다.
예를 들어, 모닝콜 음악을 들으면 꼭 아침에 잠이 깰 때가 아니더라도 짜증 나는 기분이 드는 것은 개가 종소리를 들으면 침을 흘리는 것이랑 다른 과정이 아니라는 것이다.
주요 이론들
이반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블루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밴듀라의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한편 앨버트 밴듀라(Albert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은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라는 행동주의의 입장뿐만 아니라
이들과 함께 인지주의의 학습이론을 함께 다루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입장을 보여준 바 있다.
이러한 맥락은 생리적 신경학적 메커니즘의 과학적 현상을 다루는 생리심리학이나 신경심리학이
행동주의 심리학에 깊이 연관된 것처럼 인지주의 심리학에서도 그 주요한 역할영역의 효율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