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학
임상 심리학(臨床心理學, clinical psychology)은 심리학의 한 분야로 인문학, 사회학 등 인접 학문에서 연구된 이론을 부적응 문제 및 진단 치료에 적용하는 학문이다.
정신의학에서 치료 방법으로 사용된다.
시작은 1896년 L.위트 무가 펜실베이니아대학에 몸이 불편한 아동을 위해 '심리 클리닉'을 개설하고,
1909년 W.힐링이 소외되는 청소년들의 개진을 위해 마련한 시설을 시작으로 한다.
그 후 1930년대에 미국 전역에 정신분석학에 대해 사상이 뿌리내린 것과 컬럼비아대학에 정식으로 임상 심리학 관련 학과와 양성 코스가 생긴 것 등도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임상 심리학의 발전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군인들이 다양한 심리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이들에 대한 치료 및 참전이 가능한 군인들을 선별하기 위한 진단검사의 필요성이 야기되면서 임상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본격적으로 구도를 잡고 성립되었다.
인간의 심리적 문제의 진단과 치료를 담당하며 이때 진단을 할 때는 각종 임상 테스트나 임상 진단 기술을 이용한다.
그 와중에 지능이나 성격을 진단하는 검사도 있어 정신과적인 영역에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임상 심리학은 지능, 성격, 개성 등 많은 부분을 파악하고 있어 원래는 군인이나 어린아이에게 많이 적용되던 것이
그 영역을 확장해 청소년, 어른 등 사회 전반적으로 적용되고 그 치료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남은 임상 심리학의 과제는 지금까지 이뤄낸 이론적 연구를 실제 신경증이나 정신증, 스트레스를 치료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임상심리학의 역사와 발전
1896년과 1946년은 임상심리학의 역사가 있어서 주요한 이정표가 되는 해라고 볼 수 있다.
1896년에는 라이트 너 위트머(Lightner Witmer)가 펜실베이니아 대학에 세계 최초의 심리 진료소(psychological clinic)를 설립함으로써
임상심리학의 향후 발전을 위한 기초를 갖추었다. 즉, 임상심리학의 발달은 라이트너 위트 머(Lightner Witmer)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그 후 50년이 지난 1946년에는 재향군인회(Veterans Administration)와 미국 공중위생국(U. S. Public Health Service)이 설립됨으로써 임상심리학의 전문 분야에 심리치료가 포함되었다.
이로써 심리평가와 심리치료가 임상심리학의 전문 분야가 된 것이다.
그에 따라 임상심리학자는 심리평가자에서 심리치료자로 바뀌게 되었다.
이렇게 볼 때 임상심리학의 전문적 역사의 골격은 심리평가와 심리치료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임상심리학의 발달은 미국과 매우 비슷한 점이 있다.
미국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이 임상심리학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되었는데, 한국에서도 6·25 전쟁이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전쟁이라는 비일상적인 현실 속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갈등은 심리학이 발달하는 데 좋은 기회가 되었다.
6·25 전쟁에 미국의 정신과 군의관들이 참여하면서 한국의 정신의학(精神醫學, psychiatry)은 미국의 정신의학적 조류를 빨리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러한 정신의학적 발달과 더불어 6·25 전쟁 이후 일시적 과도기를 거쳐 임상심리학을 전공하는 심리학자가 정신의학적 임상 장면에 직접 참여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련 치료 방법
지시적 요법
이 경우 치료사가 직접적으로 조언을 건네거나 지시를 내리게 된다.
치료자가 올바르다고 믿는 대로 이끌어가는 것으로 치료자 중심의 요법이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 예시로 지시적 상담이 있다.
비지시적 요법
지시적 요법과 반대로 치료사의 역할이 상당 부분 줄어들고 환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파악하여 정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행동 요법
행동 요법은 학습에 따른 행동 교정을 통해 치료하는 기법이다.
행동 요법은 임상 심리학보다는 행동 심리학에서 더 많이 적용되는 분야로 스키너나 파블로프의 개의 실험에서 기반하고 조건화의 기법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집단 요법
집단으로 모여 그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으로 집단 활동의 적응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일반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심리 역할극 즉 미친놈 드라마가 이 집단 요법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다른 예시로는 플레이 요법이나 토의법이 있으며 이 치료는 미국의 모레노가 확립하였다.
연기를 하며 관객들의 반응과 평가를 듣고 동료의 연기를 보며 문제점이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과 치료보다 더 효과 있을 때 실시되는 요법이다.
사회에서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요법이다.
실존 분석 요법
실존분석(existential analysis 또는 Existenzanalyse)이라고 불리며 일하는 능력이나 인생을 즐기는 능력만 아니라 고뇌하는 능력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치료 목표이다.
임상심리사
임상심리학을 활용하여 심리적 문제가 있는 대상을 판단, 치료하고 연구하는 직업을 말한다.
병원의 정신과, 심리상담소 등에서 일한다.
정신과 의사와의 차이점으로 임상심리사는 심리학적인 치료를 다루며, 정신과 의사는 약물 치료를 포함한 정신의학적 치료를 다룬다는 점이다.
상담심리사와의 차이점은 상담심리사 또한 심리 장애나 정신·병리를 다룬다는 심리학적 입장은 같지만
상담심리사는 심리적 이슈에 대해 스스로 문제해결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입장을 견지한다면 임상심리사는 보다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치료의 목적을 달성한다는 점에서 정신과 의사와의 동일한 입장을 견지한다고 볼 수 있다.